가. 산업 특성
산업 개요
몽골에서 농산업(농업 및 목축업)은 불과 20년 전에 GDP중 비중이 27% 수준으로 높았으나, 2020년 기준 12%로 과거 보다 현저히 감소했지만, 여전히 해당 분야 종사자수 및 정서적 측면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몽골의 농산업은 농업 보다는 오축을 중심으로 한 유목목축업이 산업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농산업의 생산물은 주로 수출 보다는 내수용으로 소비되며, 국민의 식량 및 식품산업의 원료로 공급된다.
2020년 기준 농산업의 생산액이 총 4.4조 투그리크이며, 실질 성장률은 전년도 보다 약간 감소한 6.2%를 기록하였다. 몽골의 농산업은 기후 영향이 큰 산업으로 성장률 또한 매년 상이하며, 가뭄 및 설해 등의 자연재해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최근 5개년간 자연재해가 있었던 2017년을 제외하면 평균 6% 수준의 성장률을 유지해왔다. 2020년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로 몽골 경제가 -5.3% 위축되었으나, 농산업은 6.2%의 플러스 성장률을 보였다. 2020년 3월 몽골 상공인회의소 설문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의 영향이 가장 적었던 분야는 농산업이었는데, 그것이 통계청 자료로 증명되었다.
몽골의 농축산업이 생산하는 농축산물은 크게 1)농산물인 곡물 및 채소류, 2)축산물인 육고기 및 우유, 털과 가죽 등으로 구분된다.
현재 농산물 자국 수요 중 밀은 96%, 감자 99%, 채소류 54% 각각 자체 생산하고 있다.
반면에 축산물인 육고기 및 우유 수요를 100% 자급하고 있으나, 가공비율은 약 5%로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특히 우유와 육고기는 아직도 대부분 가내 수공업으로 1차 가공하여 시장에 공급하는 비중이 크며, 털과 피혁의 경우 소량을 국내 가공 공장에서 완제품을 생산하는데 사용하고, 대부분 1차 가공(washed wool)을 하거나 원료 그대로 수출하고 있다.
최근 5년간 농산업 생산 동향
(단위: 십억 투그리크, %)
구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농업 생산량 |
2,798.7 |
2,865.3 |
3,495.7 |
4,026.5 |
4,458.8 |
실질 성장률 |
6.2% |
1.8% |
4.5% |
8.4% |
6.2% |
GDP중 비중 |
11.5% |
10.1% |
10.7% |
10.7% |
12.0% |
전체 GDP |
23,942.8 |
27,876.2 |
32,411.2 |
37,280.8 |
36,958.5 |
자료: 몽골 통계청
정책 및 규제
몽골의 농업분야 주요 정책으로는 2015년 제정된 ‘식품·농목축업 정책’을 들 수 있다. 식품산업과 농축산업은 국가안보 확보에 중대한 사회·경제 발전의 기초 분야라고 명시하고, 농축산업의 발전 방향을 생산량의 증대 및 경쟁력 향상에 중점을 두고 있다. 세부 정책 방향은 다음과 같다.
몽골 ‘식품·농업정책’의 주요 내용
1) |
목축업은 기후변화에 적응한 전통 유목목축업을 주로 하고, 인구밀집지역 혹은 대도시 인근, 농업지역에는 생산목적에 따른 사육농장 운영.(육우, 젖소 등) |
2) |
농업은 기후변화 대응 및 선진기술의 도입으로 생산량 증대, 생산량의 안정화 |
3) |
농축산물을 전통기술 및 선진기술을 활용, 가공함으로써 국민에게 영양이 풍부하고 믿을 수 있는 식품 공급, 식량안보 확보. |
4) |
농축산물 생산에 과학적 근거가 있는, 지식기반 혁신기술의 도입으로 생산량 및 효율성 증대, 지속가능한 발전 지원 |
5) |
농축산업의 인사교육 및 역량 강화, 생활 환경 개선, 경영 기술 지원 |
몽골 정부는 ‘식품·농목축업 정책’의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세부 목표를 제시하고 있는데, 향후 5년간 평균 성장률을 15%~20% 수준으로 유지하고 농산업의 국가 경제 기여도를 4% 비중으로 상향 조정하였다.
또한 우유와 육고기 가공량을 2025년 까지 육고기는 20만톤, 우유는 전체 생산량 중 가공 비중을 50%까지 올리고, 채소류 재배량을 확대하여 100% 자급자족할 것으로 목표로 하고 있다. 채소류 및 밀 경작의 점진적인 증대를 통해 전체 경작 면적을 100만 헥타르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그러나 2020년 기준으로 상기 목표의 달성 비율이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한 상황이며, 이 같은 목표 달성을 위한 세부 사업 프로그램인 농축산물의 가공 향상을 위한 ‘공업화 21’, 채소류 재배 확대 및 농업현대화를 위한 ‘채소, 프로그램, 식품 생산량 증대 및 품질 향상을 위한 ‘건강한 식품, 건강한 몽골’ 등의 프로그램 계획을 수립, 추진중이다.
몽골의 ‘식품·농목축업 정책’ 목표 달성률 평가 기준표
№ |
|
2014년 (기준연도) |
2020년 |
2025년 |
1. |
농산업 산업생산 성장률 (5년간 평균치) |
12% |
15% |
20% |
2. |
국가 예산수입의 농업 기여도 |
2% |
3% |
4% |
3. |
전체 가축 중 소 비중 |
6.7% |
8% |
10% |
4. |
공장에서 가공한 육고기량 (천 톤) |
16.8 |
100 |
200 |
5. |
공장에서 가공한 우유 비중 |
9% |
30% |
50% |
6. |
경작 면적(천 ha) |
769ha |
960ha |
1,050ha |
7. |
1헥타르당 밀 수확량(100kg) |
16.9 |
17.3 |
20 |
8. |
채소류 자급 비중 |
54% |
70% |
100% |
9. |
생산 사료 중 고성분 가축사료 비중 |
0.7% |
5% |
10% |
자료: www.legalinfo.mn
주요 기업 현황
2020년 기준 몽골에 등록된 전체 법인 수는 200,451개로 이중에서 농기업으로 등록된 기업체수는 8,995개사이다.
전체 등록 법인 중 47%만이 정상적으로 활동중이며, 농기업 중 3,441개가 활동기업이다.
정상 활동 농기업 중 식물재배업 기업 1,949개(3%), 동물 사육농장 운영 기업 1,073개(1.1%), 사냥업 종사 기업 7개(0.007%), 임업 종사 기업409개(0.3%), 어업 종사 기업 3개(0.003%) 각각 정상 활동중인 것으로 확인된다.
몽골의 축산업의 특징은 법인이 아닌 전통 유목목축업 종사 가내농업이 상당 부분을 이루고 있으며, 2020년 기준 전체 가호 908,712호중 242,024호가 목축업에 종사하고 있다.
2020년 기준 몽골의 농기업 활동 현황
№ |
|
세부 분류 |
전체 기업체수 |
정상 운영 기업체수 |
전체 중 비중 |
1. |
농업 |
1년생 식물 재배업 |
3,822 |
1,633 |
3.0% |
2. |
다년생 식물 재배업 |
533 |
201 |
||
3. |
식물 재배업 |
368 |
115 |
||
4. |
축산업 |
동물 사육업 |
1,532 |
514 |
1.1% |
5. |
복합 농장 |
1,134 |
362 |
||
6. |
농업 관련 기타 보조업 |
603 |
197 |
||
7. |
사냥업 |
사냥업 |
26 |
7 |
0.007% |
8. |
임업 |
식목업 및 기타 임업 |
733 |
293 |
0.3% |
9. |
벌목업 |
125 |
73 |
||
10. |
수렵업 |
22 |
6 |
||
11. |
임업 관련 기타 보조업 |
84 |
37 |
||
12. |
어업 |
어업 |
13 |
3 |
0.003% |
농기업수 |
8,995 |
3,441 |
3.6% |
||
전체 기업수 |
200,451 |
94,491 |
100% |
자료: 몽골 통계청
몽골의 농산업 분야 주요 기업 정보
№ |
기업명 |
산업 분야 |
기타 정보 |
1. |
GATSUURT LLC |
식물 재배업, 농장, 농산물 가공, 식품 생산, 농기계 수입유통 |
Website: www.gatsuurt.mn E-mail: assist@gatsuurt.mn Tel: 976-7000-3357 |
2. |
ALTAN TARIA LLC |
식물 재배업, 농산물 가공, 식품 생산 |
Website: www.altantaria.mn E-mail: marketing@altantaria.mn Tel: 976-7012-2067 |
3. |
MTS AGRO LLC |
식물 재배업, 식품 생산, 농산물 수입유통, 창고업 |
Website: www.mts.mn E-mail: agro@mts.mn Tel: 976-7606-7777 |
4. |
MILL HOUSE LLC |
식물 재배업, 식품 생산 |
Website: www.mts.mn E-mail: agro@mts.mn Tel: 976-7606-7777 |
5. |
GAZAR SHIM LLC |
식물 재배업, 식품 생산, 수입유통업 |
Website: www.millhouse.mn E-mail: info@millhouse.mn Tel: 976-7000-3559 |
자료: 각 기업체 웹사이트
몽골 농업용 기계 및 장비 수입 주요 기업체
№ |
기업명 |
산업 정보 |
기타 정보 |
1. |
MSM GROUP |
자동차, 광산중장비, 농업용 기계장비 및 기타 제품 수입유통, John Deere브랜드 정식 딜러 |
Website: www.msmgroup.mn E-mail: information@msmco.net Tel: 976-7018-1111 |
2. |
ENSADA TRACTRON LLC |
농업용 각종 기계 수입유통, IH, NEW HOLLAND 브랜드 정식 딜러 |
Website: www.ensada.mn E-mail: sales@ensada.mn Tel: 976-7010-9833 |
3. |
AGRO MACH TECH LLC |
농업용 각종 기계 수입유통, 러시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중국 등 국가에서 수입 |
Website: www.agromachtech.mn E-mail: agromachtech.mgl@gmail.com Tel: 976-7037-5059 |
4. |
AGRO IMPORT LLC |
농업용 각종기계 및 트랙터 수입유통 |
Website: www.agroimport.mn E-mail: agro999import@gmail.com Tel: 976-7015-1860 |
5. |
AGRO TRADE LLC |
각종 농목업용 기계 및 장비 수입유통 |
Website: www.agrotrade.khas.mn E-mail: tumur@agrotrade.mn Tel: 976-11-453035 |
자료: 각 기업체 웹사이트
나. 산업 수급 현황
생산 동향
목축업이 전 국민의 전통적인 생업인 만큼 몽골 정부는 매년 가축 두수 통계를 집계하여 해당 분야의 정책 방향에 참고하고 있다.
최근 5년간 몽골의 가축 두수가 지속 증가해왔으나, 2020년에는 자연재해로 300만 마리가 감소한 6,706만 마리로 집계되었다. 이 중 말 409만 마리, 소 473만 마리, 낙타 47만 마리, 양 3,004만 마리, 염소 2,772만 마리로 각각 확인된다.
몽골은 축산물 중 고기는 현지 수요를 100% 충족하고 있으나 우유는 계절적 영향이 큰 유목 목축산업이므로 겨울철에 부족한 부분을 분유 수입을 통해 공급하고 있다.
최근 5년간 가축 보유 현황
(단위: 천 마리)
가축 종류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말 |
3,635.4 |
3,939.8 |
3,940.0 |
4,214.8 |
4,093.8 |
소 |
4,080.9 |
4,388.4 |
4,380.8 |
4,753.1 |
4,732.0 |
낙타 |
401.3 |
434.1 |
459.7 |
472.3 |
472.9 |
양 |
27,856. |
30,109.8 |
30,554.8 |
32,267.2 |
30,049.4 |
염소 |
25,574.8 |
27,346.7 |
27,124.7 |
29,261.6 |
27,720.2 |
전체 |
61,549.2 |
66,218.9 |
66,460.1 |
70,969.3 |
67,068.4 |
자료: 몽골 통계청
몽골이 최근 30년간 2회 농사 운동 실시를 통해 전체 경작 면적 및 농작물 재배량을 증가시켜 왔다.
특히 감자, 채소류, 가축 사료 경작량이 최근에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20년 기준 밀, 보리 등의 곡물 생산량은 43만톤, 감자는 24만톤, 채소류는12만톤, 가축사료는 18만톤, 유채 등의 공업용 식물 2.2만 톤을 각각 생산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농작물 생산 동향
(단위: 천 톤)
구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곡물 |
483.4 |
238.1 |
453.8 |
433.3 |
430.3 |
감자 |
165.3 |
121.8 |
168.8 |
192.2 |
244.2 |
채소 |
94.4 |
82.1 |
100.7 |
99.5 |
121.2 |
가축 사료 |
53.4 |
47.8 |
123.8 |
121.1 |
182.0 |
공업용 식물 |
21.4 |
13.8 |
23.9 |
34.0 |
22.6 |
자료: 몽골 통계청
수출입 동향
몽골의 농업 관련 수출입 품목을 살펴보면, 주로 축산물인 육고기, 가죽, 양털 및 캐시미어 등을 수출하고 각종 농기계 및 장비류를 수입하고 있다. 최근 5년간 몽골의 축산물 수출이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유지해왔으나, 2020년도 코로나19로 인한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수출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도 기준 주요 축산물의 전체 수출량은 전년도 대비 -36% 감소한 2.6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특히 육고기 및 캐시미어 수출량이 전년도 대비 -53% 감소, 캐시미어 수출의 경우 32%로 각각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유일하게 수출량이 증가한 품목은 소가죽 및 말 가죽이며, 전년도 대비 91% 증가한 227만 달러를 수출하였다.
최근 5년간 몽골의 축산물 수출 동향
(단위: 천 달러)
HS 코드 |
품목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0202 |
소고기 |
1,592.3 |
1,643.3 |
3,175.8 |
- |
- |
0204 |
양고기 |
361.5 |
8,267.0 |
15,567.7 |
24,164.6 |
4,828.3 |
0205 |
말고기 |
14,392.6 |
44,529.2 |
64,974.0 |
57,688.5 |
33,283.4 |
4104 |
말·소 가죽 |
1,664.2 |
3,149.5 |
3,109.5 |
1,185.8 |
2,274.3 |
4106 |
양·염소 가죽 |
3,897.4 |
6,229.8 |
4,980.8 |
4,031.2 |
3,120.4 |
5102.11.20 |
세척한 캐시미어 |
192,534.6 |
205,639.5 |
251,956.2 |
283,289.7 |
205,088.5 |
5105.31.10 |
코옴한 캐시미어 |
33,189.0 |
38,552.0 |
54,944.2 |
45,319.3 |
16,877.0 |
전체 금액 |
247.631.6 |
308,010.3 |
398,708.2 |
415,679.1 |
265,471.9 |
자료: 몽골 통계청
몽골의 주요 수입 농산물은 육류(돼지고기, 닭고기), 분유, 계란, 채소류, 과일류, 밀, 쌀, 식용유, 설탕 등이다.
2020년도 기준 주요 농산물 수입이 전체 1.8억 달러이며, 이것은 전년도 대비 50% 증가한 금액이다.
이 같은 증가율은 밀 수입량 증가에서 비롯된 결과이다. 농산물 중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품목은 설탕, 쌀, 과일, 닭고기 등이다. 최근에 수입량이 증가세를 유지하는 농산물은 돼지고기, 닭고기, 과일, 쌀, 식용유 등이다.
최근 4년간 몽골 주요 농산물 수입 동향
(단위: 천 달러)
HS 코드 |
품목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0203 |
돼지고기 |
2,974.7 |
3,430.1 |
2,049.2 |
8,790.1 |
0207 |
닭고기 |
14,823.7 |
21,490.7 |
24,597.9 |
23,554.2 |
0402.2110 |
분유 |
11,517.9 |
11,123.0 |
13,302.1 |
12,628.0 |
0407 |
계란 |
7,387.9 |
9,732.1 |
10,773.7 |
9,770.6 |
0701,03,04,06 |
채소류 |
11,380.4 |
12,849.7 |
10,512.5 |
12,946.7 |
0803,05,06,07,08 |
과일류 |
12,943.7 |
14,055.1 |
18,789.8 |
14,345.1 |
1001 |
밀 |
2,663.2 |
44,333.3 |
2,752.5 |
27,840.7 |
1006 |
쌀 |
20,636.9 |
26,108.0 |
23,674.3 |
30,159.1 |
1512 |
해바라기씨유 |
11,823.0 |
12,935.7 |
11,148.3 |
16,161.8 |
1701.9910 |
설탕 |
25,165.2 |
30,693.0 |
23,099.0 |
24,408.5 |
전체 금액 |
121,316.6 |
186,750.7 |
119,910.2 |
180,604.8 |
자료: 몽골 통계청
농산물 외 농산업 분야 주요 수입 품목은 바로 농기계로 몽골이 연간 약 1천만~2천만 달러에 해당하는 농기계 및 장비를 수입하고 있다.
2020년도에 코로나로 인해 수입량이 감소했지만, 최근 4년간 지속적인 증가세를 유지해왔다.
2020년 기준 수확기 및 탈곡기는 4390만 달러, 기타 농업용 기계는 38만 달러, 제분업용 기계 98만 달러, 트랙터 380만 달러를 각각 수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몽골의 농기계 수입 동향
(단위: 천 달러)
HS 코드 |
품목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8433 | 수확기나 탈곡기 | 11,379.3 | 4,603.8 | 12,245.0 | 3,407.1 | 4,390.8 |
8436 | 농업·임업·가금사육·양봉용 | 588.6 | 358.5 | 1,320.2 | 960.8 | 387.2 |
8437 | 제분업용 기계 | 791.1 | 527.5 | 3,120.9 | 300.9 | 983.5 |
8701 | 트랙터 | 5,951.7 | 3,984.5 | 3,131.0 | 9,507.3 | 3,805.5 |
전체 | 18,710.7 | 9,474.3 | 19,817.1 | 14,176.1 | 9,567.0 |
자료:몽골 관세청
다. 진출 전략
□ SWOT 분석
Strengths | Weaknesses |
- 저렴한 노동력, 한국어 구사 인력이 풍부한 국가 - 세계 최대 시장 중국과 러시아에 인접한 위치로 수출 용이 - 중국산 대비 ‘Made In Korea’ 상품 인지도 높은 국가 |
- 농업용 장비와 기계의 부족 및 노후화로 효율성 낮음 - 열악한 물류 인프라 및 보관 시설 부족으로 초기투자비 높음 - 인구 3백만명의 협소한 내수시장이자 산업기반이 없는 한계 |
Opportunities | Threats |
- 1인당 면적 기준 세계 1위, 농경지 면적 1.2백만 헥타르 보유 - 몽골 정부 장기개발정책상 농업부분 개발 계획 반영도 높음 - 경제구조상 한국과 몽골이 상호보완적 관계로 기업체 차원 협력의지가 강함 |
- 농경지 면적의 60%가 토질이 비약한 상황 - 경제 침체 및 자국 화폐가치 약세로 구매력 감소 - 농업 및 식품 제조 부분이 세계 192개국 중 180위 수준 |
□ 유망분야
몽골 정부의 주요 식품의 자급자족을 위한 보조금 지급 등의 정책 시행으로 채소류, 밀, 가축 사료 등의 재배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른 종자, 비료, 하우스, 농기계 등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돼지, 닭 등의 가금류 사육산업이 성장하고 있어서 가금류 양육 관련 시설 및 장비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신흥시장이다.
몽골 시장 현황 시찰 및 주요 농기업들과 네트워킹을 위해서는 현지에서 개최되는 농산업 관련 주요 전시회 참가가 효과적인 방법이다.
몽골에서 농산업 관련 최대규모 농업 전시회는 ‘AGRO EXPO’며, 매년 8월 중순에 개최되나 2020년도에 코로나19로 취소되었다. 올해는 8월 13일~15일까지 3일 개최하기로 전시회 일정이 확정되었으며 세부 정보는 아래와 같다.
전시회명 | AGRO EXPO (International Agriculture&Food Fair 2021) |
개최기간 | 2021년8월13일~15일 |
개최장소 | Khui Doloon Khudag, Ulaanbaatar, Mongolia |
주최측 | Expo Mongolia LLC |
홈페이지 | www.agroexpo.mn |
참가업체수 | 80개사(2019년 기준) |
방문객수 | 5,000명(2019년 기준) |
주요 품목 | 저장 장비, 사료, 비료, 농기계 등 |
자료: 몽골 통계청, 관세청, 법률 사이트, 식량농경공업부, 현지 기업 홈페이지, 각 언론 기사, KOTRA 울란바토르무역관 자료 종합
'농업.축산.임산업,식량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RNOGOV, 온실은 350명에게 양도되었습니다. (0) | 2023.05.01 |
---|---|
호주산 소·양고기, 무관세 쿼터에 청정육 공세 (2) | 2023.04.28 |
경북도 몽골에 K-농업기술 노하우 전수, 몽골 국립생명과학대학교수진 초청 (0) | 2023.02.11 |
대한민국, 올해 주목해야 할 농업ㆍ농촌 분야 10대 이슈 (0) | 2023.01.03 |
"몽골 2022년 14.3천톤 육류 고기 수출", 188,600개의 목축가구에 7,160만 마리의 동물 (0) | 2022.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