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경쟁력 높은 ESS LFP 중심으로 시장 형성...中 기업과 경쟁 불가피
전기차 시장에 이어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이 배터리 업계의 새로운 먹거리로 부상 중이다. LG에너지솔루션을 비롯한 배터리 3사는 ESS시장을 정조준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키운다는 방침이다. 승부처는 가격경쟁력을 낮춘 중국 기업과의 경쟁이다.
ESS란 분산된 에너지를 저장한 후 필요 시 혹은 전력 사용이 최대 부하에 이르는 시점에 저장된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다. 전기차 성장률이 둔화된 가운데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에서 친환경 에너지 산업이 부상하면서 ESS 시장은 배터리 업계의 화두로 도약하는 추세다.
시장규모도 확대되는 추세다. 산업조사기관 블룸버그NEF에 따르면, 글로벌 ESS시장은 오는 2030년엔 시장 규모가 2천620억달러(약 346조7천억원)까지 급속 확장할 전망이다.
현재 국내 배터리 3사 중 ESS 시장에 가장 발빠른 기업은 단연 LG에너지솔루션이다. 회사는 오창과 중국 난징 두 곳에서 ESS를 생산하고 있는데 미주 애리조나에도 3조원을 투자해 ESS LFP 전용공장을 건립할 예정이다. 2026년 양산이 시작되면 16GWh규모의 생산여력을 갖추게 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최근 미국 최대 신재생 ESS 전시회 ‘Re+ 2023’에 참가해 ESS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한 4대 핵심 사업전략을 발표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향후 5년내로 ESS 사업 부문의 매출을 3배 이상 성장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삼성SDI 역시 울산과 중국 시안에 ESS 공장을 두고 있는데 올 하반기 ESS 신제품 공개를 앞두고 있다. 다만 삼성SDI의 경우 ESS LFP보다는 고부가가치 배터리인 NCM쪽을 주력으로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SK온은 올해 반기보고서를 통해 미래 성장 동력으로 ESS 사업을 추진하겠다면서 신재생에너지 연계용 ESS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전기차 배터리와 유사하게 ESS 시장도 LFP배터리 쪽으로 선회하는 양상이다. 실제 테슬라의 경우 미국 캘리포니아에 매년 1만 메가팩을 생산할 수 있는 메가팩토리를 가지고 있다. 메가팩은 대용량 에너지저장장치(ESS)다. 해당 공장에 공급하는 배터리 셀은 대부분이 LFP배터리다.
(출처, 지디넷)
'경제,금융,에너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품 혁명의 일환으로 1,700개 기업이 4,400억 MNT의 대출을 받았습니다. (1) | 2023.09.29 |
---|---|
몽골의 개발 파트너는 재생 에너지 분야에서 협력을 제안했습니다 (0) | 2023.09.27 |
몽골 수출 29.2% 증가, 155개국과 교역. 대외 무역액 160억 달러, 그 중 수출 100억 달러, 수입 59억 달러 (0) | 2023.09.19 |
소똥, 소 배설물 에서 액체 바이오메탄 추출. 로켓 연료로 변환됩니다 (0) | 2023.09.18 |
에너지 분야 겨울 준비는 70% 이상 완료 (0) | 2023.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