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와 28년 친선도시 몽골 울란바타르 시장, 돌고르수렌 소미야바자르(Dolgorsuren Sumiyabazar) 서울시 명예시민 수여.
- 오세훈 시장, 15일(월) 울란바타르시 D. 소미야바자르 시장과 환담 후 명예시민 수여식
- 코로나19팬데믹 이후 첫 해외도시 시장 명예시민 위촉…우호협력 강화 기대
- 울란바타르시, 한강의 수변정비정책, 첨단 교통관제시스템, 온실가스 감축 전략 등 서울시 우수정책 공유를 통해 시민의 삶의 질 향상 모색 기대
서울과 28년 우정을 쌓아온 친선도시이자 몽골의 수도인 울란바타르시 의 돌고르수렌 소미야바자르(Dolgorsuren Sumiyabazar) 시장이 서울시 명예시민이 됐다. 이번 명예시민 위촉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해외도 시 시장으로서는 처음이다.
울란바타르는 몽골의 수도이자 핵심 경제 산업 도시로 몽골 인구의 절 반 정도가 생활하며 몽골 GDP의 65%를 차지한다.
지난 10년간 경제력 294%, 인구 41%, 등록 기업 수 183% 가 증 가한 발전하는 도시이기도 하다.
서울시는 오세훈 시장이 이날 오후 서울시청에서 돌고르수렌 소미야바 자르 울란바타르 시장을 접견하고 명예시민증을 수여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시를 방문한 주요 외빈을 대상 또는 서울에서 연속 3년 또는 누적 5년 이상 거주 중인 외국인에게 명예시민을 수여하고 있다.
돌고르수렌 소미야바자르 울란바타르 시장은 3선 국회의원으로 국무위 원 겸 광산중공업부 장관을 역임한 후 2020년부터 울란바타르 시장으 로 재직하면서 서울과 울란바타르시 간 교통 분야 및 공무원 역량 강화 사업 등 다양한 교류를 통해 양도시 우호협력 증진에 기여해 왔다.
돌고르수렌 소미야바자르 시장은 레슬링 전국대회에서 우승한 경력이 있는 선수 출신으로 다방면에서 몽골 국민들에게서 사랑받고 있다.
서울시와 울란바타르시는 1995년 친선도시 체결 후 지난 28년간 문 화, 인적교류, 주요 정책 공유 등 다방면에서 활발한 교류와 협력을 이 어오고 있다. 울란바타르 시내에는 ‘서울의 거리’가 조성되어 있고, 울 란바타르의 교통시스템 발전을 위해 서울시의 교통정책 노하우를 전수 하기도 했다.
(문화교류) 울란바타르 서울의 거리 조성(1996), 몽골 서울숲 조성 (2009), 울란바타르시 공연단 서울시 세계도시문화축제 파견 다수
(인적교류) 울란바타르시 청소년 직업훈련 제공(2004), 몽골다문화 가정 아동을 위한 몽골 주말학교 지원(2016), 서울 교통공사-울란바 타르 철도공사 직원 역량 강화 사업 진행(2019)
(교통) 서울 정책수출사업단, 울란바타르 지능형교통시스템 구축 컨설팅 (2017), 서울시-몽골 철도안전 선진화를 위한 역량강화 사업 추진(2021)
이날 명예시민증 수여식에 앞서, 오 시장과 돌고르수렌 소미야바자르 울란바타르 시장은 양 도시 간의 교류 현황을 공유했다. 특히, 돌고르 수렌 소미야바자르 울란바타르 시장은 서울시의 첨단교통관제 시스템과 탈탄소 정책 등에 깊은 관심을 표현하며, 울란바타르시에 도입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검토하는 등 향후 도시 간 교류 강화 방안을 모색했다.
몽골 울란바타르 시는 현재 도시 인구 집중 현상으로 인한 교통체증과 환경오염, 공용주차장 부지의 협소함, 교통 인프라 부족 등을 주요 해 결과제로 꼽고 있다.
특히, 울란바타르의 교통 인프라 부족과 교통혼잡을 해결하기 위해 △ 경전철 건설 △외곽순환도로 구축, △톨강 인근 개발을 검토 중이며, 이를 위해 한강의 수변공간 정비현황 및 교통정책을 벤치마킹할 예정이다.
시는 이날 명예시민증 수여를 통해 몽골 내 서울 홍보대사로서 친서울 분위기를 확산하고, 나아가 28년간 이어온 서울시-울란바타르시 간 교 류 활성화에 탄력을 더할 것으로 기대한다.
명예시민증을 수여받은 돌고르수렌 소미야바자르 울란바타르 시장은 “한국하고 몽골인들은 몽골반점을 갖고 태어나는 등 많은 유사한 점이 있다”며, “(명예시민증 수여를 계기로) 서울시와 울란바타르시의 협력 관계가 앞으로 더욱 발전되고 양국 시민들의 생활이 향상되는 등 새로 운 단계에 올라설 수 있도록 책임감을 느끼며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 다.
이날 명예시민 위촉식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은 “어느 날 만나서 천 일 동안 친구로 지낸다는 몽골 속담처럼, 28년의 오랜 우정을 나눈 양 도 시가 앞으로도 진정한 친구로 지내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소미야바자르 울란바타르 시장님을 서울시 명예시민으로 위촉했다”며, “명예시민으로 서 서울에 더 많은 관심과 애정을 갖고 서울의 매력에 대해서 널리 홍보해 주시기를 바람과 동시에 울란바타르가 겪는 교통, 개발 등의 정책 문제에 대해 해결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서울시가 정책 경험을 나누고 공유하겠다”고 밝혔다.
몽골 울란바타르시장 인적사항
성 명 : 돌고르수렌 소미야바자르 (Dolgorsuren Sumiyabazar)
생년월일 : 1974년 (만 49세)
학 력 : 몽골 과학기술대학교 경영, 컴퓨터과학부 졸업
주요경력
○ ’20~ 몽골 울란바타르 시장
○ ’17~’20 몽골 광산중공업부 장관
○ ’12~’16 몽골 국회의원 (3 재선)
○ ’08~’12 시의회 대표로 정계 입문
상 훈
○ ’19 울란바타르시 380주년 기념메달
○ ’14 몽골 붉은깃발 훈장
○ ’11 인민혁명 90주년 기념메달
○ ’06 몽골 건국 800주년 기념메달
특이사항
○ 레슬링 선수로 활동하며 2006년 전국대회 우승자로 몽골에서 유명
몽골(Mongolia) 개황
□ 일반사항
ㅇ 수 도 : 울란바타르(Ulaanbaatar)
ㅇ 인구/면적 : 338만 명(2021) / 156.4만㎢(한반도의 7.1배)
ㅇ 언어/종교: 몽골어 / 라마교(54%), 이슬람교(3.1%)
ㅇ 기 후 : 대륙성 한랭건조기후
□ 정치현황(2022)
ㅇ 정부형태 : 민주공화제 (의원내각제적 성격이 강한 이원 집정부제)
ㅇ 주요인사 - 대 통 령 : U.Khurelsukh (후렐수흐, 인민당)
※ 2021.6.9. 당선 - 총 리 : L.Oyun-Erdene (어용어르덴, 인민당)
- 외교장관 : B.Battsetseg (바트체첵, 인민당)
ㅇ 주요정당 : 인민당(63석), 민주당(12석), 노동민족당(1석)
□ 경제현황(2021)
ㅇ 국내총생산 : 약 137억 불 / 1인당 국내총생산 : 약 4,599불
ㅇ 경제성장률: 1.4%, 물가상승률: 13.4%
ㅇ 무역규모: 128.7억 불(수출 75.8억 불 / 수입 52.9억 불)
ㅇ 주요자원: 구리, 석탄, 형석, 동, 몰리브덴, 텅스텐, 아연, 금, 석유 등
※ 몽골은 세계 10대 자원 부국
□ 우리나라와의 관계(2021)
※ 한-몽 수교 : 1990. 3.26.
ㅇ 교역현황 : 수출 3.85억 불 / 수입 0.24억 불
ㅇ 인적교류 : 방한 5,769명 / 방몽 3,767명
ㅇ 교민현황 : 약 2,100명(2020, 외교부)
※ 체한 몽골인 48,185명(2019)
울란바타르(Ulaanbaatar) 개황
□ 일반현황
ㅇ 인구/면적 : 162만 명, 4,704㎢ (서울의 7.7배 분지 형태)
ㅇ 위 치 : 유라시아대륙 중심 러시아와 중국 사이(고도 1,350m 고원지대)
ㅇ 기 후 : 저온건조한 대륙성 냉대기후로 4계절이 분명(연중 평균 –0.4℃)
□ 경제현황 (2022)
ㅇ 울란바타르 GDP는 몽골 국내총생산의 약 65%에 해당하는 약 80억 불 생산
ㅇ 지난 10년 동안 경제 294% ⇧, 인구 41% ⇧, 등록 기업 수 183% ⇧ □ 행 정
ㅇ 시정부와 시의회로 구성
- 시의회 의원은 45명으로 주민 선거를 통해 선출 (임기 4년),
- 시장은 시의회간접선거를 통해 선출된 자를 총리가 임명 (임기 4년)
ㅇ 울란바타르 시장은 몽골 인민당 위원회 의장으로 수도 주지사 직책을 겸임
ㅇ 울란바타르시는 9개 구(duureg)와 그 하위 조직인 동(khoroo)으로 구성
ㅇ 구의회는 인구수에 따라 의원 수(21~35명)가 결정되며 구청장과 동장은 각각 울란바타르 시장, 구청장이 임명
□ 도시특징
ㅇ 몽골의 인구의 절반 정도가 수도인 울란바타르시에 거주
ㅇ 울란바타르 시내의 3개 열병합 화력발전소(시 전체 난방공급), 자동차, 게르가옥(유연탄 사용)으로부터 나오는 오염물질로 대기오염 극심
ㅇ 도시 인프라 부족 및 무분별한 도시개발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 중이며, 서울의 도시개발 경험 및 기술 전수 가능
□ 시장분석
ㅇ 인구 3백만의 작은 시장이나 한류 영향으로 중소기업 유망 틈새시장 부상
- 한류 영향으로 한-몽간 상품·서비스·인적교류 활발, 한국은 몽골의 4위 교역국
ㅇ 내륙국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3국과의 교역 확대 희망
- 전략적 파트너인 중국(최대 수출시장)과 러시아(에너지 공급원) 의존적 국제관계에서 탈피, 소위 ‘제3의 이웃’(미국, 일본, 한국, 인도 등)과의 교역확대 추진 - 내륙국가 교통운송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철도‧도로 인프라 개발 계획
□ 서울-울란바타르 주요교류
ㅇ 1995.10. 서울시-울란바타르시 자매도시 체결(2020년 25주년)
ㅇ 2009. 6. 오세훈 서울시장 울란바타르 방문 및 서울숲 조성 MOU체결
ㅇ 2015.09. 자매결연 20주년 기념 서울시장 대표단 울란바타르 방문
ㅇ 2018.06. 행정1부시장 제3차 동북아 시장포럼 참석
ㅇ 2019.04. 서울시(행정2부시장)-울란바타르 철도청(총괄부장)간 도시철도 기술 업무협약 체결
ㅇ 2020.11. 자매결연 25주년 기념 온라인 문화행사
ㅇ 2020.12. 제4회 동북아 시장 포럼(온라인) 권한대행 축사 및 국제교류담당관 발표
ㅇ 2022.12. 제5회 동북아 시장 포럼(온라인) 국제교류 지역담당 옵저버 참석